현지시각 지난 2일, 영국은 코로나 백신 긴급사용을 승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도 이달 결정을 앞두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보통 백신은 개발보다는 효능 검증, 부작용 관찰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죠. <br /> <br />하지만 세계적인 대유행 속 부작용을 꼼꼼히 살필 여유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검증 기간이 10년에서 1년으로 단축되면서 유효성,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실제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15개 나라, 1만8천여 명을 상대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면 맞겠느냐는 의향을 물었죠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는 17%, 영국 21%, 미국 36%, 프랑스에서는 46%가 맞지 않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[티아 스테판 / 영국인 (언론사 근무) : 개인적으로는 맞고 싶지 않아요. 모든 게 너무 빨리 진행되는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각국의 고심이 깊어지는 부분인데요. <br /> <br />미국의 경우 우려 불식을 위해 전직 대통령이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오바마와 부시, 클린턴까지 3명의 전직 대통령이 긴급사용 승인만 나면 코로나 백신을 방송국 카메라 앞에서 맞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은 여왕 엘리자베스 2세와 찰스 왕세자, 윌리엄 왕세손 등 왕실 가족은 물론, 축구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 스타선수 래쉬포드 등을 백신 접종 홍보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현지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과거 비슷한 사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로큰롤의 황제로 불리는 엘비스 프레슬리, <br /> <br />지난 1956년 카메라 앞에서 팔을 걷어붙이고 소아마비 백신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는 미국에서 소아마비 감염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던 시기인데요. <br /> <br />엘비스의 공개 접종 이후 접종 붐이 일었고 1954년 4만 명에 달하던 감염자는 엘비스 접종 이듬해인 1957년 5,500명으로, 사망자도 1954년 1,450명에서 1957년 221명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백신 관련 부작용 우려에 백신 개발사의 요구사항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작용이 생겨도 책임을 개발사에 묻지 않아야 한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우리 정부 역시 이 문제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(어제) : 현재 이런 면책 요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 공통적으로 요청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백신의 유효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차를 마련해서 가능한 좋은 협상을 통해서 여기에 대해 우려가 없도록 노력하겠습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20412592161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